본문 바로가기
STUDY (공부)/STATISTICS (통계)

통계학과 표본오차

by phd.갖고싶은자 2021. 2. 9.

사례 4 : 우리나라 대통령선거(1992년,1997년 대선)

- 1992년도와 1997년도 갤럽이 예측한 대선결과도 2000여명의 표본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여 론조사를 실시하여 이루어짐 - 1997년에도 여론조사결과는 공표 금지되었음. 출구조사도 금지

 

 

- 1997년도 대선은 박빙의 승부가 예상되어 갤럽은 여론조사에서 다음의 사항을 개선함

o 응답자의 솔직성 확보 노력 : 전화중단자에 대한 분석, 지지하는 사람 대신 다른 후보로 응 답하거나 아예 답하지 않는 경우 분석

o 기권률 예측 및 특성 분석 : 경험상 “젊은 사람”과 “대통령 후보를 내지 못한 지역”의 투 표율이 낮았음 ⇒ 연령 및 지역별 투표율 예측이 중요한 변수로 고려됨

⇒ 투표전 전화조사(Telephone Survey) : 지지도를 신속하게 알기 위해 ⇒ 패널조사(Panel Study) : 솔직하지 않은 응답자로 인한 오차 점검 ⇒ 투표당일조사 : 출구조사가 금지되어 투표를 마치고 집에 있는 유권자에게 전화로 물어보 는 준출구조사(Pseudo Exit Poll) 실시

- 지역별 최저 보조표본추출법(Minimum Boost Sampling by Area)을 적용하여 지역별 투표 성향을 자세히 분석함 ⇒ 예를 들어 표본수가 1,500명이라면 1,000명은 종전의 지역별 유권자수 비례 추출법 (Proportionate Probability Sampling: PPS)으로 뽑고 500명은 유권자수가 적은 강원 도 (3.3%), 제주도(1.1%), 충청도(7.3%)에 할당하여 지역의 최저표본수가 150명이 되도 록 하였음 - 솔직한 응답을 얻기 위해 워딩(Wording)을 개선하여 무응답율 줄임 ⇒ 이전의 정치상황 하에서 국민들은 정치적 견해를 솔직히 말하기를 꺼려함. 특히 50세 이 상, 저학력층, 농촌 및 섬 지역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짐 - 전화조사 중단자는 무응답자와 비슷한 특성을 보임. 또한 패널조사로부터 “대전/충청”과 “대 구/경북” 지역 유권자의 지지도가 더 안정적이고 일관성 있음을 알 수 있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