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stic2 통계학으로 예측한 우리나라의 미래 - 총인구 및 인구성장율 추이 0 10000000 20000000 30000000 40000000 50000000 6000000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2030 2040 2050 (명) -1.5 -1 -0.5 0 0.5 1 1.5 2 2.5 3 3.5 (%) 총인구 인구성장률 ● 인구예측은 다른 예측에 비해 비교적 정확한 것으로 평가 -【추계 기본식】 추계인구 = 기준인구+1년간 자연증가(출생-사망)+1년간 사회증가(입국- 출국) - “ 저출산-고령화” : 평균수명의 증가, 출산율의 감소에 따라 젊은 세대가 줄어들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 인구구조의 변화 ◇ 1955년과 2005년 인구피라미드 비교 - 2005년 총조사 인구의 연령별 구조는 30, 40.. 2021. 1. 3. 통계학으로 분석한 출생과 수명 1) 출생 ● 출생통계 - 신고인인 부모가 출생신고서를 읍∙면∙동 또는 시∙구에 제출하면 이를 보정, 집계하여 작성 ● 출산율 및 출생성비 (단위 : 명) 출생아수 조출생률 (인구 천명당) 합계출산율 (가임여성 한명당) 출생성비 (여아백명당 남아수) 1970 1,006,645 31.2 4.53 109.5 1975 874,869 24.8 3.47 112.4 1980 865,350 22.7 2.83 105.3 1985 662,510 16.2 1.67 109.4 1990 658,552 15.4 1.59 116.5 1995 721,074 16.0 1.65 113.2 2000 636,780 13.4 1.47 110.2 2005 438,062 9.0 1.08 107.7 2007 496,710 10.1 1.26 10.. 2021. 1. 2. 이전 1 다음 반응형